워드프레스 사용일 경우
테마 업로드나 파일 업로드 같은것을 사용함.
기본 리눅스 계정을 사용해도 상관 없으나
내 서버의 루트 권한을 가진 계정을 아무렇게나 노출시키고 싶진않아
ftp용 계정을 만들어 워드프레스나 기타 웹서비스에서 사용하려고 함.
1.vsftpd 설치확인
$ rpm -qa | grep vsftpd
vsftpd-3.0.2-29.el7_9.x86_64
이미 나는 설치가 되어 있었지만..
2. vsftpd 설치
$ sudo yum install vsftpd -y
3. 설정
$ cd /etc/vsftpd
$ sudo vi vsftpd.conf
anonymous_enable=YES # anonymous(익명) 사용자의 접속 허용여부
local_enable=YES # 서버 일반 계정으로 ftp 접속 허용여부
write_enable=YES # 쓰기권한 허용여부
local_umask=022 # umask 디폴트값 022
dirmessage_enable=YES # 사용자가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하였을 때 디렉토리의 메시지를 보여줄지 여부
xferlog_enable=YES # 로그를 남길것이지 여부
connect_from_port_20=YES # 20번 포트의 데이터전송 연결을 허용여부
xferlog_file=/var/log/xferlog # 로그 저장 경로
xferlog_std_format=YES # xferlog 표준형식으로 로그를 남길것인지에 대한 설정
idle_session_timeout=600 # 클라이언트에서 아무 작업이 없을 때 해당 시간 후에 세션이 끊김
data_connection_timeout=120 # 데이터 전송시 타임아웃
chroot_local_user=NO # 홈디렉토리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설정
chroot_list_enable=NO # 홈디렉토리를 벗어날수있는 list 설정 여부
listen=NO # standalone 모드로 운영할것이면 yes
listen_ipv6=YES # ipv6 사용여부
pam_service_name=vsftpd # pam service name 지정
userlist_enable=YES # userlist 사용 여부
tcp_wrappers=YES # 접근제어 사용 여부
4. 방화벽 오픈
# 영구 ftp 오픈
$ sudo firewall-cmd --add-service=ftp --permanent
# 방화벽 reload
$ sudo firewall-cmd --reload
# 시스템을 재부팅시 자동실행 설정
$ sudo chkconfig vsftpd on
'Develop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5. CentOS Virtual Host 설정 (0) | 2021.08.01 |
---|---|
03. CentOS 웹서버 설치 (php, httpd, mariaDB) (0) | 2021.07.29 |
02. CentOS 포트열기 (0) | 2021.07.29 |
리눅스 사용자 계정 추가 및 sudo 권한추가 (0) | 2019.09.03 |